-
Provisioning Manual_Linux LVM인프라/OS 2021. 4. 24. 14:52728x90
fdisk
컴퓨터 파일 시스템에서 fdisk는 디스크 파티션 기능을 제공하는 명령어이다.새로운 파티션의 생성, 기존 파티션의 삭제, 파티션 타입 결정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Primary(주 영역), Extend(확장 영역), Logical(논리 영역)으로 구분한다.
LVM(Logical Volume Manager)
논리적인 공간을 관리해주는 프로그램이다.특히,
- 여러 개의 디스크 공간을 합쳐서 하나인 것 처럼 사용할 수 있다.
- 사용하기 애매한 공간의 디스크 파티션(자투리 영역)을 활용할 수 있다.
- 기존에 사용 중인 디스크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실행계획
- 파티션 생성($ fdisk /dev/sdb)
- 물리 볼륨 생성 ($ pvcreate /dev/sdb1)
- 볼륨 그룹 생성 및 합치기 ($ vgcreate vg_data /dev/sdb1)
- 논리 볼륨 생성 및 크기 할당
- 파일 시스템으로 포맥 및 마운트
1. 파티션 생성
- LVM 설정할 하드디스크의 디바이스 명을 확인한다.
[root] fdisk -l
- fdisk를 사용하여 LVM 타입으로 파티션을 생성한다.
[root] fdisk /dev/sdb -> n #새 파티션 추가 -> p #primary -> 1 #파티션 번호 -> -> 값 입력 #사용할 디스크 용량 (최댓값) -> t #파티션 종류 지정 -> 8e #리눅스 LVM -> w #저장 및 write
- LVM 타입으로 파티션이 설정된 것을 확인한다.
[root] fdisk -l
2. 물리볼륨 생성
- 물리볼륨을 확인한다.
[root] pvdisplay
- 물리볼륨을 생성한다.
[root] pvcreate /dev/sdb1
- 물리볼륨이 생성된 것을 확인
[root] pvdisplay
3. 볼륨그룹 생성 및 합치기
- 볼륨그룹을 확인한다
[root] vgdisplay
- 위에서 생성 했던 물리 볼륨 들을 묶어 볼륨 그룹을 생성한다.
[root] vgcreate [vg명] /dev/sdb1 #여러 개의 PV를 한 VG로 묶고 싶은 경우 콤마 없이 /dev/sdb1 옆에 나열해주면 됨
# 기존에 있던 VG에 PV를 넣을 때 [root] vgextend [vg명] /dev/sdb1
- 성공적으로 합쳐 졌는지 확인한다.
[root] vgdisplay
- 볼륨그룹을 활성화 시킨다.
[root] vgchange -a y [vg명]
4. 논리볼륨 생성 및 크기 할당
- 논리볼륨을 확인한다.
[root] lvdisplay
- 용량을 지정하여 논리 볼륨을 생성한다. **PE단위로 주는 것이 정확하다. 옵션이 더 필요할 수 있음
[root] lvcreate -L +50G -n [lv명]/[vg명]
#용량 전체 할당할 때 [root] lvcreate -l +100%FREE /dev/[vg명]/[lv명]
> vg명을 잘 못 읽을 경우
[root] lvcreate -L 400G [vg명] #lv이름 랜덤 부여
[root] lvrename /dev/prod_vg/lvol0 /dev/prod_vg/confluent #바꿔주기- 논리볼륨이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root] lvdisplay
5. 파일시스템 포맷 및 마운트
- 생성된 논리볼륨의 파일시스템을 포맷한다.
[root] mkfs.ext4 /dev/[vg명]/[lv명]
- 원하는 디렉토리에 마운트 한다.
[root] mkdir [디렉토리명] [root] mount -t ext4 /dev/[vg명]/[lv명] /[디렉토리명]
- 확인
[root] df -h
- 부팅해도 자동으로 디스크 읽어줄 수 있도록 fstab 설정
#각 lv별 UUID 확인 [root] blkid #추가 [root] vi /etc/fstab UUID="eb9e0191-2977-4687-8edb-fb997a023187" /data/soyeon ext4 defaults 0 0
728x90'인프라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18.04_LVM 용량 확장 (0) 2021.06.01 ubuntu18.04_oracle java 1.8버전 설치하기 (0) 2021.05.26 Ububtu_사용자 계정의 .bash_profile 이 없을 때 (0) 2021.05.04 Linux SSH 접속 오류 (0) 2021.04.27 Ubuntu_Setting (0) 2021.04.24